[질의]
1. 사실관계
○ 질의인은 ’21.6.6. ㈜AAA(이하 “공급자”)로부터 PP시 LL구 YY지구 소재 근린상가를 분양받는 계약을 체결하고 부동산임대업 사업자등록을 하였으며 동일자로 납부한 계약금에 대하여 공급자로부터 세금계산서를 발급받음
○ 상가가 준공되기 전으로 지번이 생성되지 아니하여(KK동 상업0블럭2-1LT) 사업자등록시 사업장 소재지에 예상 지번을 기재하여 등록증을 발급받았으며(KK동 000-1 KK프라자 000,000호)- 수취한 세금계산서상 공급받는 자의 사업장 주소 역시 해당 예상 지번으로 기재되었으나 건물 준공 후 지번이 달라질 수 있음
2. 질의내용
○ 사업자가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근린상가를 분양받으며 수취한 세금계산서상 공급받는 자의 사업장 주소가 사실과 다르게 기재된 경우 매입세액 공제 여부
[답변내용]
사업자가 부동산임대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상가를 분양받고 「부가가치세법」 제32조에 따라 수취한 세금계산서상 사업자(공급받는 자)의 사업장 주소가 사실과 다르게 기재된 경우에도 같은 법 제39조 각 항에 해당하지 아니한 이상 해당 세금계산서의 매입세액은 같은 법 제38조에 따라 사업자의 매출세액에서 공제하는 것임
[요지]
사업자가 상가를 분양받으며 수취한 세금계산서상 공급받는 자의 사업장 주소가 사실과 다르게 기재된 경우라도 임의적 기재사항의 부실기재이므로 매입세액은 공제되는 것임
사전-2021-법령해석부가-0892
[관련법령]
○ 부가가치세법 제8조【사업자등록】
① 사업자는 사업장마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사업 개시일부터 20일 이내에 사업장 관할 세무서장에게 사업자등록을 신청하여야 한다. 다만, 신규로 사업을 시작하려는 자는 사업 개시일 이전이라도 사업자등록을 신청할 수 있다.
○ 부가가치세법 제9조【재화의 공급】
① 재화의 공급은 계약상 또는 법률상의 모든 원인에 따라 재화를 인도(引渡)하거나 양도(讓渡)하는 것으로 한다.
○ 부가가치세법 제32조【세금계산서 등】
① 사업자가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부가가치세가 면제되는 재화 또는 용역의 공급은 제외한다)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적은 계산서(이하 "세금계산서"라 한다)를 그 공급을 받는 자에게 발급하여야 한다.
1. 공급하는 사업자의 등록번호와 성명 또는 명칭2. 공급받는 자의 등록번호. 다만, 공급받는 자가 사업자가 아니거나 등록한 사업자가 아닌 경우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고유번호 또는 공급받는 자의 주민등록번호3.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4. 작성 연월일5.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항
○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67조【세금계산서 등】
② 법 제32조제1항제5호에 따라 세금계산서에 적을 그 밖의 사항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공급하는 자의 주소
2. 공급받는 자의 상호·성명·주소
3. 공급하는 자와 공급받는 자의 업태와 종목
4. 공급품목
5. 단가와 수량
6. 공급 연월일
7. 거래의 종류
8. 사업자 단위 과세 사업자의 경우 실제로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거나 공급받는 종된 사업장의 소재지 및 상호
○ 부가가치세법 제38조【공제하는 매입세액】
① 매출세액에서 공제하는 매입세액은 다음 각 호의 금액을 말한다.
1. 사업자가 자기의 사업을 위하여 사용하였거나 사용할 목적으로 공급받은 재화 또는 용역에 대한 부가가치세액(제52조제4항에 따라 납부한 부가가치세액을 포함한다)
○ 부가가치세법 제39조【공제하지 아니하는 매입세액】
① 제38조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매입세액은 매출세액에서 공제하지 아니한다.
2. 세금계산서 또는 수입세금계산서를 발급받지 아니한 경우 또는 발급받은 세금계산서 또는 수입세금계산서에
제32조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규정에 따른 기재사항(이하 "필요적 기재사항"이라 한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적히지 아니하였거나 사실과 다르게 적힌 경우의 매입세액(공급가액이 사실과 다르게 적힌 경우에는
실제 공급가액과 사실과 다르게 적힌 금액의 차액에 해당하는 세액을 말한다). 다만,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의
매입세액은 제외한다.
○ 부가가치세법 시행령 제75조【세금계산서 등의 필요적 기재사항이 사실과 다르게 적힌 경우 등에 대한 매입세액 공제】
법 제39조제1항제2호 단서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2. 법 제32조에 따라 발급받은 세금계산서의 필요적 기재사항 중 일부가 착오로 사실과 다르게 적혔으나 그 세금계산서에 적힌 나머지 필요적 기재사항 또는 임의적 기재사항으로 보아 거래사실이 확인되는 경우
'세무 > 예규 판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마켓에서 판매한 경우 현금영수증 발급 의무가 판매자에게 있는건가요 (0) | 2022.04.19 |
---|---|
협력업체 직원등에게 지급하는 식대의 경우 비용처리 가능 여부 (0) | 2022.04.18 |
회사 사업자번호가 아닌 직원의 핸드폰번호로 발행한 현금영수증 증빙처리 가능 한가요 (0) | 2022.04.15 |
무상으로 금전을 지원하는 경우 적격증빙을 챙겨야 하나요 (0) | 2022.04.15 |
세무서에서 압류한 예금에 질권설정이 되어있는 경우 우선순위 (0) | 2022.04.14 |
댓글